브라우저 동작 원리

Untitled

내가 만든 HTML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면 파싱(인식)이 진행됨

이렇게 생성된 DOM을 화면에 어떻게 구성할까 구조를 작성하는것이 DOM Tree

HTML는 뼈대 그 자체이므로 살을 붙이는 CSS 구조를 CSSOM Tree 구조로 작성

이렇게 DOM Tree와 CSSOM Tree를 합쳐 만든 것이 Render Tree이다.

Untitled

사용자가 글을 쓰거나 특정 작업을 했을 때 이벤트 리스너를 걸어 특정 요소를 제거하는 순간 특정 요소만 사라지는 것이 아닌 전체가 삭제되고 다시 렌더링 되는 구조이다.

→ 이것이 비효율적이라 생각해서 만들어진 것이 Ajax이며 특정 요소만 삭제하고 렌더링이 가능함

하지만, 현재 사용되고 있는 Ajax도 비효율적이라 생각했다

가상DOM을 사용해서 컴포넌트 자체를 삭제하지 않아도 변경할 수 있다.

→ 리액트를 사용하게 되는 이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