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 서버란 인터넷 상에 가상화된 서버이며, 필요할 때마다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이다.
인터넷 통신망에만 접근할 수 있으며 컴퓨터 자원(CPU, 메모리, 디스크 등)을 원하는 대로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다.
클라우드 서버는 처리 성능,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제공 등 기존의 물리 서버와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.
- 물리 서버보다 장점이 필요한 성능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이 가능
- 기존에는 회사에서 서버실을 따로 두고 컴퓨터마다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을 각각 설치하였으며 서비스 이용이 많이지는 경우 서버 증설을 하게 되면 물리적 요소를 증가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음(스케일 업)
클라우드 서버는 가상화를 통해 구현된다.
- 하이퍼바이저라는 관리 소프트웨어가 물리적 서버에 설치되어 서버를 연결하고 가상화를 하면, 결합되어 있는 자원들을 추성화 하여 가상의 서버를 만들어낸다.
클라우드 서비스 모델
lasS(Infrastructure as a Sercie)
- 가상 서버, 호스팅, 스토리지, 가상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한다.
- 사용자는 물리적인 자원을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되며, 제공자가 서비스하는 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함
-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구조
- AWS,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등이 있음
PssS(Platform as a Service)
- 미들웨어와 데이터베이스 관리, 애널리틱스, OS등을 제공함
- 하드웨어, OS, 미들웨어와 같은 관리는 서비스 제공자가 하며, 사용자는 제공된 미들웨어만 사용 가능하다.
-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신경쓰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.
SaaS(Software as a Servic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