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 ❓
애플리케이션에서 도메인 로직을 적용하고 엔티티의 정보를 돌려줄 때 어떤 타입을 사용하는가?
</aside>
OSIV
와 결합하면 컨트롤러에서 DB 변경이 일어날 수 있음계층형 아키텍처에서 각 계층은 자기 바로 다음 계층에만 의존해야 한다는 제약
완화된 계층형 아키텍처
를 사용하여 개발하기 때문에 괜찮다.
→ 계층형 아키텍처의 목표는 시스템의 시스템의 관심사를 분리하고 전체적인 결합도를 낮추고 인지 과부화를 방지해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다.
사진을 보면 꼭 다음 계층과 연관되어 있는 것이 아닌, 계층을 뛰어 넘어서 의존을 할 수 있다.
단, 의존에 방향이 바뀌면 안된다.
Entity를 어댑터로 유출하면 도메인 로직을 담은 메소드가 실행 될 수 있음
엔티티가 가진 정보 조회를 넘어서 엔티티 로직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도메인 로직이 유출되는 문제는 엔티티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님.